1.당신 삶의 목적들을 알라.
하루, 일주일, 일 년, 그리고 일생에 대한 분명한 목표를 세우지 않는 것 만큼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없기 때문이다.
2.매일 저녁에 다음 날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의 목록을 작성하라.
그러면 더 숙면을 취하게 되고, 아침에 눈을 뜰 때도 더 의욕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하루종일 시가을 더 잘 관리하게 될 것이다.
3.당신의 의무와 책임들이 독촉하기 전에 일찍 일어나라.
적어도 15분에서 30분간 개인적인 경건의 시간을 가지라.
4.인간관계를 귀중한 투자로 여기라.
사람들을 코치하면서 무엇보다 큰 후회는, 지난날을 돌아볼 때 '부적절한 사람들과 너무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라는 사실을 때달을 때 왔다.
5.대충대충 하려는 마음을 버리라!
처음부터 제대로 해야한다.
Taken from Success is not an accident by Tommy Newberry,
번역 유정희
11월 생명의 삶
2009년 11월 11일 수요일
탁월한 시간 관리를 위한 10가지 권고
11월 생명의 삶에 수록된 글 "시간을 지혜롭게 사용하라" 에서 "탁월한 시간관리를 위한 10가지 권고"를 이야기 합니다. 그중에 몇가지를 인용하여 적어봅니다.
2009년 11월 10일 화요일
꿈을 이루기 위해 공부한다
"권태선 칼럼 - 내 삶의 주권찾기" 라는 한겨레 신문 칼럼을 보았습니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참 목적을 찾고 이루면 살아가는데에 생각이 많았던 요즘, 간만에 좋은 글을 찾았네요.
무엇이 되는 것에만 목표를 두고 살아가다보면 그 것, 위치가 된 후에는 상실감이 많이 느껴질 것 같습니다.
권태선 선생님의 글 중에 가장 감명깊었던 글을 인용합니다.
삶의 주권을 회복한 우리가 만들어갈 사회는 지금과는 사뭇 다를 겁니다. 아이들은 ‘일단’ ‘그냥’ 공부하는 게 아니라, 꿈을 먼저 꾸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공부하게 되겠지요. 부모들은 아이들을 무작정 무한경쟁에 내모는 대신 좋은 교육을 찾아나서게 될 거고요. 남성들은 자신의 일을 통제하면서 좀더 관계지향적인 삶을 모색할 수 있을 테지요. 그래야 되지 않겠습니까?
from 권태선 칼럼 - 내 삶의 주권찾기
2009년 11월 9일 월요일
내일은 오늘 믿음의 산물
오늘의 삶은 과거에 내가 어떻게 믿음을 가지고 생활했는지에 대한 결과이며, 내일은 오늘 내가 가진 믿음의 결과일 것이다. 현재 나를 반성하게끔 한다.
오늘날의 내 삶은 과거의 내 믿음이 그래도 반영된 결과다. 따라서 오늘 내 믿음이 미래의 내 삶에 그대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from 긍정의 힘 (Devotions 묵상편, 조엘 오스틴 지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